Rejection Sampling 시뮬레이션

rejection sampling 겨울학교에서 Gibbs Sampling 방법론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 이게 바이오정보학과목에서 본거 같은데 확실한 의미를 몰라서 찾아보다가 여러 샘플링 기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대부분 복잡한 확률 모델들은 확률값을 추론하기가 힘들다. 이 때문에 여러 샘플링 방법을 사용해서 확률값을 근사하는게 되는데, 책을 보다가 책에 있는 코드를 기반 R로 시뮬레이션을 해봤다. 함수가 있는데 이런식으로 시뮬레이션 샘플링을 하는 이유는 […]

계속 읽기

구글 입사문제에 자주나오는 것들이…

사실 어제 알고리즘을 작성하다가 두 값을 넣어서 첫번째 값이 두번째 값보다 우선할때 true를 리턴하는 함수를 작성했다. 그리고 그걸 이용해서 데이터를 소팅을 했는데 처음 몇백건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 없이 되다가 실제 수백만건으로 작업을 하다가 메모리가 풀나버렸다. (당연하겠지만…) 일단 이전과 같이 하던 작업 스타일인 우열을 가늠할 수 있는 필드를 레코드 마지막에 넣어서 나중에 sort 명령으로 소팅해 버리면 […]

계속 읽기

알고리즘 문제 풀기 습관 들이다.

알고리즘 트레이닝 북 이라는 책이 있다. 한 3년전 쯤에구입해서 앞에 몇 문제만 풀어보고 박아 두었었다.그러다 요즘 인생에 도움이 될만한 좋은 습관하나 들여 볼라구 여자친구와 함께 이 책으로 문제풀이를 하고 있다. 구입했을 당시에는 문제를 보고 정말 어렵게 풀었었는데, 지금 보니 상당히 풀만하고 재미있다. 그리고 공식 사이트에서 문제 풀이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꼭히 책을 살 필요가 없다는 […]

계속 읽기

알고리즘 복잡도(complexity)와 언어(language)

일반적으로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그리고 복잡도에 대한 이야기를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많이 한다. 그리고 자주 나는 결론은 그런걸 고민하는 시간에 다른 중요한 일을 하고, 그 문제에 대해서는 서버를 증설하면 된다는 식으로 그냥 해결 방법을 얼버무린다. 물론 서버를 증설하는 방법은 좋다. 하지만 서버를 증설했을시에 자동으로 그런 리소스 분배가 되는지도 확인해야되고 그런 중요한 부분과 또 다른 점들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

계속 읽기

알고리즘 공부하기

그동안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던 알고리즘 공부를 복습하고자 한다. 물론 기본적이 알고리즘과 여러 잡다한 알고리즘을 알고 있기는 하지만 처음부터 한번 정도 정리해야될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전에 conv2님과 함께 학교 와서 구입한 알고리즘 책은 이미 다 본 상태구 코딩까지 해봐서 이제 다른 책으로 넘어가야 할거 같다. Algorithms : Design Techniques and Analysys 라는 책인데 이 책은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