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 겨울, 안반데기

“형님 태백 눈 엄청 왔데요” 라는 후배의 말을 미끼로 덥썩 물어 버리는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무엇보다 겨울의 끝자락을 붙잡고 싶었다. 그래서 주말을 맞이하여 다시 길을 나섰다. 강원도로 향하는 길, 그것은 마치 사라져가는 계절을 마지막으로 어루만지는 행위처럼 느껴졌다. 나에게 있어 백패킹 계획이란 본래 먼 훗날의 일이 아니라, 수요일이나 목요일쯤 불현듯 결심을 하게 하는 그런 […]

계속 읽기

MCP의 성공과 그 의미: 자유로운 컨텍스트 활용은 LLM 능력 확보만큼 중요하다.

AI 엔지니어 쪽에서 최근 몇 달간 타임라인을 가득 채우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이야기에 주목하게 됩니다. 2024년 말에 시작된 이 프로토콜이 왜 이렇게 빠르게 AI 개발 생태계의 표준으로 자리잡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우리 AI 개발 방식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살펴보겠습니다. MCP의 성공 요인: 컨텍스트의 핵심 가치를 이해하다 Anthropic이 MCP를 개발할 때 가장 중요시한 철학은 “모델은 제공되는 컨텍스트만큼만 […]

계속 읽기

AI Agent의 현실과 이상 그리고 지금 해야 될 것

LLM 에이전트와 기술의 현재 위치 최근 들어 LLM(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에이전트들의 성능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웹 검색, 코드 작성, 프로그램 실행, 동료와의 소통 등 디지털 작업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도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성과를 보면, 인간의 생산성을 완벽히 대체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어 […]

계속 읽기

예상 밖의 여정

인생이란 묘한 여정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피어나는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 싶어 하지만, 그 길목에 도사리고 있는 것은 우리의 걱정과 불안이다. 나이가 들수록, 그 걱정은 더욱 깊고 복잡해지는 것 같다. 나무의 나이테처럼, 경험이 쌓일수록 우리의 걱정의 층도 두꺼워진다. 그러나 우리 삶의 가장 소중한 순간들은 종종 그 걱정의 벽을 뚫고 나왔을 때 찾아온다. 주말에 떠나는 백패킹은 그런 경험 […]

계속 읽기

진정 개발팀을 이끄는 팀장까지 AI가 대체할 것인가?

들어가며 소프트웨어 개발은 오랫동안 인간의 창의성과 기술적 역량이 요구되는 고도화된 영역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AI의 발전은 단순한 코드 생성부터 복잡한 문제 해결까지 점차 그 역할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개발 조직의 중심인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매니저(팀장)의 역할 역시 AI로 대체될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AI가 개발 업무에서 얼마나 실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지, 그리고 […]

계속 읽기

아직 감성적 사고가 부족한 존재 GenAI

오늘 인간 추론의 정의와 GenAI의 능력에 관련된 논문을 보면서 앞으로 중요하게 쓰일 인간만의 능력은 뭐가 될까 몇가지 정리해봅니다. GenAI가 잘 하는 논리적이 추론 작업은 GenAI에게 충분히 맡기고 이외의 인간 능력으로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은 누구나 예상할 만한 가까운 미래의 업무 진행 방식이 될거라 의심치 않고 이런 인간이 좀더 능력자로 인정될 수 있을 거니까요. 공상과학 영화에서는 종종 […]

계속 읽기

GenAI 시대의 UX 설계: 피드백 루프 설계와 이를 위한 인간의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어제 Carnegie Mellon의 AI 사용에 대한 비판적 사고 연구 논문을 읽으며, 작년 말 GenAI 기반 서비스의 UX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던 경험이 떠올랐습니다. 당시 고민했던 많은 부분들이 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기존에 봤던 GhostWriter 연구, Cursor vs Copilot 개인적 사용 사례, 그리고 Science Advances의 AI 기반 글쓰기 생산성 연구와 함께 종합해보니 뭔가 통합된 통찰을 얻을 수 […]

계속 읽기

OpenAI의 Deliberative Alignment

OpenAI가 오늘 AI 안전성 확보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인 Deliberative Alignment(DA)를 공개했습니다. 이는 AI 모델의 윤리적 판단과 안전성 확보에 있어 의미있는 진전을 보여주는 발표이고 리즈닝으로 성능을 극대화 하는 최근 추세와도 딱 맞는 접근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DA는 안전성, 견고성, 일반화 능력 등 대부분의 중요 지표에서 기존 방식들을 크게 개선했으며, 특히 Jailbreak 방어를 위해 과도하게 응답을 […]

계속 읽기

레드락 캐년 캠핑 그리고 자전거 라이딩

아래 내용은 작년 모 해외 초청의 공식 스케줄 직전 레드락 캐년을 자전거로 라이딩 하고 캠핑을 했던 경험과 소회를 정리한 글입니다. 해외 캠핑과 자전거 라이딩을 한번에 호기롭게 했던 개인적으로 의미있었던 엑티비티 중 하나였습니다. 출발 “형님은 정말 뭐에든 진심이시네요?” 지난 연말 모임 도중 이런 이야기를 하는 전 직장 후배의 말을 들으면서 이번 여행에 대해서 설명을 이어갔다. 하긴 […]

계속 읽기

AI 시대를 준비하는 젊은 세대를 위한 Nate Silver의 5가지 조언

급변하는 시대의 불확실성과 불안감 속에서, 이러한 변함없는 여러 원칙들을 재확인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큰 위안이 되는 것 같습니다. https://www.natesilver.net/p/sbsq-17-how-should-you-prepare-for 이 글은 제가 블로그를 다시 쓰기 시작하는데 영향을 준 글로 저와 같은 어느정도 경력의 황혼기를 맞는 사람보다는 초반 경력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좀더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Nate Silver는 데이터 분석과 예측 모델링 분야의 선구자적 인물이죠. 야구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