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Model (2)
점심시간을 틈타 Language Model의 마지막 포스팅을 해본다. 먼저번 포스팅헤서 P(q|Md)를 구하는게 목적이라는 언급을 했었고, 그 값을 구하기 위한 식을 만들었다. 그럼 문서 기반으로 정확히 식을 구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쿼리에 대해서 문서에 대한 t.f(term frequency)를 구하고 문서에 존재하는 모든 텀의 갯수를 dl이라는 변수에 할당을 해서 위와 같은 식으로 model과 쿼리의 확률을 구하는것이다. 그런데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