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한 문자열 정규화 코드

사용자 입력 문자열에서 문장부호나 쓸데없는 문자들을 필터링 해서 필요한 문자열로만 만들고 싶을 경우가 있다. 뭐 이 작업을 정규화 작업이라고 한다면 아래의 간단한 처리 만으로 숫자와 다양한 언어 문자열들만 포함하게끔 만들어줄 수 있다. 유니코드 카테고리중에서 숫자(Number)인것들과 문자(Letter)인것들만 허용해 string을 만들어 주는 함수이다. 물론 인자는 유니코드 문자열이여야만 한다.   from unicodedata import category def norm(word): return u"".join([c […]

계속 읽기

Erlang과 Python 인터페이싱하기

몇일전 Erlang이 라이브러리가 부족하다 뭐하다 하는 썰을 풀어 놓았었다. 그러다 어제 돌입한 작업이 그럼 Erlang과 다른 외계어들간에 인터페이싱이였다. 작업은 얼랭에서 강력하게 추천하는 방법인 port를 통한 인터페이싱이다. 강력하게 추천하는 이유는 다른 언어로 된 프로세스가 얼랭 런타임 환경 이외에서 실행이 되고 그곳에서의 예기치 못한 fail이 전체 얼랭 런타임 환경의 fail로 이어지는것을 방지해 주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fault-tolerant 한 […]

계속 읽기

matplotlib in Python

전에 gnuplot이라는 것을 updong님의 추천으로 잠시 써본 경험이 있다. 그러다 책을 보는데 상당히 괜찮은 그래프 라이브러리를 발견했는데 그것으로 그래프를 그리는것을 보고 새삼 놀라서 좀 더 자세히 보고 있다. matplotlib라는 놈인데 물론 python이라는 것과 결합된 라이브러리 형식의 것이라서 python언어에 종속적이지만 python에 익숙하다면 금새 사용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나이별 커플 매치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가지고 그래프를 그려봤다. 파란색은 […]

계속 읽기

Python과 C

이번 사내 짜투리 프로젝트로 Python 뽀개기를 하고 있다. 물론 Python은 정확히 2년전에 공부를 시작 했었고, 프로젝트도 해본 상태여서 그런지 그렇게 부담은 되지 않는다. 이번 Python 뽀개기의 개인적인 목표는 2.2 이후로 변한 내용을 다시 짚어 보는것과 Python을 Python 답게 쓰는 연습, 그리고 마지막 제일 중요한 C 확장모듈과 확장형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어제 확장 […]

계속 읽기

gp2x에서 파이썬을 완벽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먼저 gp2x용 python을 다운 받아야 한다. 다운은 이곳에서 하면 된다. 뭐 어디다 풀어도 상관은 없다. 대부분 STerm을 이용해서 터미널을 돌리시는 분들은 없으리라 판단이 되서 바로 python으로 만든 어플을 플레이 할수 있는 스크립트 파일을 넣어본다. 아래에서 수정할 부분은 PYTHONHOME 부분과 실제 실행하길 원하는 .py 파일의 경로를 넣어주는 것이다. 물론 “PythonPath + python 실행파일” 형식의 실행모듈 풀패스로 […]

계속 읽기

gp2x 구매 후 Python 시연

뭐 정발을 시작한 gp2x을 구매후 어제 받아서 새벽까지 뻘찟거리를 무쟈게 많이 했다. 먼저 구매후 찍은 사진을 …. 노트북이 저만 하다면 박스가 얼만한지는 대충 가늠이 가리라 생각된다. 그 외의 부수기재… 풀 패키지를 구매해서 상당히 잡스런게 많이 딸려왔다. 나의 구매 의도를 상당히 파악하고 쓴 듯한 사장 친필 서한(물론 복사본이지만..) ……누구에게나 소프트웨어 개발 툴을 제공하는 Open 라이센트 정책을 […]

계속 읽기

스크립트 언어다운 플랫폼 독립적 코딩

요즘 Admin Tool을 윈도용으로 제작하고 있는 와중에 기존에 서버와 웹로봇 프로그램에 win32 api 코드를 넣어야할 일들이 생겼다. 난 오래전부터 플랫폼 독립적인 코딩을 하길 원했다. 왜냐면 지금 하고 있는 코딩이 나중에 Linux나 Unix에 포팅할때 발목을 잡을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Admin Tool에서 어떻게 하면 프로세스 종료를 좀더 유연하게 할까 고민을 했다. 다행히 회사가 윈도 프로그래머는 넘쳐나는 곳이라 이래저래 […]

계속 읽기

나의 언어별 추천책들

짧지도 길지도 않은 나의 개발경력에 많은 언어를 다뤄본게 사실이다. 지금은 언어보다는 알고리즘 및 구현방법에 대해서 더 많은 관심이 가 있는게 사실이지만 한때 많은 언어를 아는게 자신의 툴박스 내용물을 늘리는 일이자 이력서에 한줄 더 넣을수 있는것이라고 느껴 닥치는 대로 언어를 습득하던 시절이 있었다. 요즘 이력서를 정리하다보면 예전보다 언어 종류가 많이 줄어들은걸 알수있다. (실제 줄여쓴다.) 왜 줄여쓰느냐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