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네요

지난 한글날 전남대에서 있었던 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오랄세션에서 발표한 논문이 학술대회 우수논문으로 선정이 되었다는 메일을 받았다. 기대하지도 않았는데… 막상 받아보니 기분은 좋다. 그나저나 이번에 쓴 논문에서 30%의 내용을 추가 해야 된다고 하는데 그럼 또 하나의 논문을 쓰는건가? 여튼 교수님 및 회사분들하고 논의를  해봐야겠다. 어떤게 우수논문이 되는지 보시고 싶은신 분들을 위해 링크를 다시 […]

계속 읽기

논문 세미나(2010.07.09)

사실 오늘 학교에 온 이유는 교수님하고 약속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컨퍼런스 콜도 없는 주이기도 하고… 2주전에 보낸 작성중인 논문 – 가제(“외래어 분류 속성을 이용한 한글 쿼리 오타 교정 성능향상”) 때문인데, 짧지만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온 거 같다. 그런데, 한글 쿼리 다시 말해 한국 쿼리(한국인이 한국어 검색 서비스에 입력한 쿼리)들에 대한 기존 연구가 전무한 현재 상황에 […]

계속 읽기

Full 논문 공개와 데이터 공개

어제 교수님께서 학습 데이터하고 논문 파일 보내달라고 하셔서 정리하다가 이왕이면 다른 실험 하시는 분들도 참고하시라고 이렇게 모두 공개한다. 단, 동의하여야될 부분은… 이 판정 데이터의 정확도 여부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과, 반드시 학술 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붙인다. 위의 사항에 동의하시는 분들만 받아서 사용하길 바란다. 본문과 덧글의 동시출현 자질을 이용한 역 카이제곱 기반 블로그 덧글 […]

계속 읽기

논문 수정 사항 수정 후

논문 수정 작업 후 교수님께 도장 받고 교수님하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다. 1. 공부 더 할 생각 있냐? 2. 영어로 논문 써라. 공부더 하라는 말씀은 바로 박사과정 이야기 하시는거 같다. 물론 박사과정을 밟을 생각은 있지만 지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석사논문을 써보고 하면서 충분히 혼자서도 이제는 실험하고 결론을 낼 수 있을만한 연습은 했다고 생각한다. 이제 중요한건 창의적인 사고력하고 […]

계속 읽기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 대회 논문 발표 후기

일단 구술발표로 정해졌다가 우여곡절끝네 포스터 발표로 되어서 상당히 마음의 부담을 가지지 않고 발표장에 갔지만 수많은 질문에 50분가량의 시간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모르겠다. 솔직히 학술제에 가본적도 처음이고 포스터 발표 하는것을 관람하는 것이나 발표하는것이나 처음해보는 것이라서 생각지도 못한 난관들이 있었다. 하지만 나름 남는것들이 많은 발표였다. 이때 발표에서 부족한 부분들은 나중에 다음 발표때 중요한 밑거름이 되리라 생각한다. 주제가 독특하고 […]

계속 읽기

오늘 발표할 제 논문을 공개합니다.

본문과 덧글의 동시출현 자질을 이용한 역 카이제곱 기반 블로그 덧글 스팸 필터 시스템 a comment spam filter system based on inverse chi-square using of co-occurrence feature between comment and blog post   초록 최근 대표적인 1인 미디어의 형태인 블로그는 개인 기록의 수단뿐만 아니라 기업의 홍보에까지 널리 사용되는 인터넷 미디어이다. 그러나 누구나 글을 쓸 수 있다는 […]

계속 읽기

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프로그램 계획과 나의 동선

학술대회 프로그램 계획이 나왔다. 그런데 내 포스터 발표 시간에 내가 듣고 싶은 주제가 같이 진행이 되게 되었다. ㅡㅡ;일단 내 논문과 같이 진행되는 “신경망을 적용한 온톨로지 기반의 Focused Crawling”을 좀 보고.. “VNA 집합을 이용한 뉴스기사의 중요문장 추출” 이거하고 “날짜 정보를 이용한 가중치 계산 방법을 적용한 자동 문서분류” 이고.. 토요일날에 하는 “뉴스 기사의 문장 요약” 확인후 가장 […]

계속 읽기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 대회 논문 통과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로 얼마전에 논문을 제출했는데 평가 결과가 오늘 나왔다. 사실 떨어질까봐 슬쩍 불안하기도 했으면서도 통과에 대한 기대를 했던것도 사실이다.  ^^; 교수님 세분이서 심사를 하신거 같은데 사실 논문의 심사가 이렇게나 세심하게 심사를 할지 몰랐다. 오늘 친구에게 물어보니 외국 논문심사에서 하는 방식으로 한것같다는 말을 할정도였으니까…아무래도 위 학술대회가 국내에서 상당한 인지도가 있는 학술대회라서 그런거 […]

계속 읽기

스팸 클러스터 알고리즘 평가 방법과 논문 실험 결과

이번에 논문을 쓰면서 내가 아는 가장 최다의 클러스터링 성능 측정 방법을 써서 평가했다. 야후에 와서도 느낀거고 논문을 쓰면서도 느낀거지만 알고리즘 자체를 만드는 것만큼 중요한것이 이 알고리즘이 어느정도 성능 향상은 없는지 다각도로 그리고 심층적으로 체크해 보는 일이였다. 실험 그 결과에 대해서 객관적인 결론을 낸 결과가 다른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어떤 시발점이 되지 않다 하는 생각을 해본다. […]

계속 읽기

논문에도 스토리가 필요하다.

어제 교수님이 조금 일찍 와서 논문 이야기좀 하자고 해서 좀 일찍 학교를 찾았다.사실 어제 졸업생 환송회가 있었다. 그래서 교수님도 어짜피 만나뵈어야 하고 해서 퇴근하지 마자 학교로 달렸다. 뭐 논문 실험과 결과에 대해서 특별하게 꼬집어 주시는 부분은 없었다. 사실 논문 실험 결과가 예상대로 나와줘서 아마 그 부분에 대해서 지적받았으면 좌절하고 말았을 것이다. 교수님의 말씀의 요지는 이랬다.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