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공 wifi 현황 데이터를 가져와 좌표 체계 WGS84
로 전환한 이후에 이를 기반으로 몇 가지 시각화를 해봤다.
library(ggplot2)
wifi_new <- read.csv("http://dl.dropboxusercontent.com/u/8686172/wifi_wgs_euc_kr.csv",
encoding = "EUC-KR")
ggplot(wifi_new, aes(x = factor(1))) + geom_bar(aes(fill = INSTL_DIV), width = 1) +
coord_polar(theta = "y") + xlab("") + ylab("")
위 그래프를 보면 꼭히 시장 점유율대로 공공에 지원하는게 아님을 알 수 있다.
library(ggmap)
cent <- c(mean(wifi_new$LON), mean(wifi_new$LAT))
bmap <- ggmap(get_navermap(center = cent, level = 6, baselayer = "default",
overlayers = c("anno_satellite"), marker = data.frame(cent[1], cent[2]),
key = "c75a09166a38196955adee04d3a51bf8", uri = "www.r-project.org"), extent = "device",
base_layer = ggplot(wifi_new, aes(x = LON, y = LAT, colour = INSTL_DIV)))
bmap + geom_point() + geom_density2d() + facet_wrap(~INSTL_DIV)
LGU+
와 SKT
정도만 좀더 넓은 영역에 wifi를 잘 배치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ggplot(wifi_new, aes(CATEGORY)) + geom_bar(aes(fill = INSTL_DIV))
ggplot(wifi_new, aes(INSTL_DIV)) + geom_bar(aes(fill = CATEGORY))
각 기관별 공공 wifi 배치 정책도 살짝 엿볼 수 있다.
- KT는 관광명소
- SKT는 공원
- LGU+는 주요거리
- 서울시는 공공청사
서울시 공공 wifi 시각화 by from __future__ import dream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 4.0 International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