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결산

2016년은 연말 회식도 그다지 많지 않아 2015년만큼이나 정신없이 지내지 않은 것 같다. 아마도 최근 최순실 사태 및 여러 마무리 되지 않은 사회적 이슈와 더불어 개인적으로도 마무리해야 되는 것들에 대한 정리로 바쁘게 연말이 지난 것 같다. 그래도 한해 소회 정도는 블로그에 올리는게 연례 행사인지라 간단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가족

두 아이의 아버지로서 그리고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 개인적으론 충실했다고 생각하고, 아이들도 아내도 크게 다르지 않게 생각하는 것 같다. 이제 어느정도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주는 배려의 여유가 우리 가족 내에서도 생겨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고 2016년은 그 배려의 여유를 확인한 한해가 된 것 같다. 한해동안 건강하고 행복해줘서 고맙고, 무엇보다 아이들의 순수함에 대해서 아이를 키우면서 느끼고 지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을 매우 감사하게 생각하는 한해였다.

 


비즈니스 관련 중요한 의사결정에 쓰이는 회사의 백본과 같은 예측모델링 업무를 수행할 기회가 년초에 주어져 12월까지 수행했고, 지금까지도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 이 모형에 대한 모델링/적용/운영에 거의 70%이상의 시간을 할애했다. 이 진행 과정을 통해 예전의 ‘데이터 분석의 70% 이상은 데이터 전처리에 소요되고 나머지는 모델링과 통계분석이다’라는 통념이 깨지게 되었다. 비즈니스 모델링 혹은 분석의 70%는 업을 이해하고 관계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어떻게 모형을 절충 적용할 것인지 그 방법을 찾는 과정에 소요되었고, 데이터 전처리 및 모델링은 2월부터 12월까지 해온 일 중에서 단 3개월에 불과했다. 나머지는 적용에 대한 A/B테스트와 현업과의 조정 그리고 성과 창출에 대한 고민에 들어갔다. 성공적으로 적용 및 성과창출이 되었고, 이에 대한 인정도 받았으며, 개인적으로도 매우 규모있고 리스크 있는 모델링 프로젝트를 잘 수행해서 의미가 컸다. 매달 월말이 되면 이 모형의 스코어 도출 때문에 신경이 곤두서고 담당자로부터 스코어 설명에 대한 요청이 올때마다 뭔가 잘못된 것인지 마음이 조마조마 하지만 이 또한 의미있는 경험이라 생각한다.

년초부터 업무를 하면서 딥러닝을 내가 하고 있는 업무에 적용 가능할까?라는 고민을 계속 해왔다. 사실 2016년초만 하더라도 부정적이었다. 왜냐면 딥러닝이 성과를 발휘하는 영역의 대부분은 이미지 인식이나 자연어처리쪽에 가까웠기 때문이고 내 업무 영역은 이 도메인하고는 거리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다행히도 입력 속성을 딥러닝에 맞게 변환하는 방식으로 10월쯤 일반 분류문제에서도 기존 모형보다 훨씬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이용해 신규 스코어링 모형을 구축/적용했다. 이 경험은 내가 딥러닝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고, 지금도 중요한 관심사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역시나 머신이 찾아내는 하이퍼 파라메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이 과정을 통해서 충분히 공감하게 되었다. 물론 학습 및 튜닝에 시간 소요가 많이 되지만 의미있는 과정이고 추후 미션 크리티컬한 영역에서는 매우 큰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

올해는 논문작업과 업무를 병행하는게 매우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낀 한해였다. 논문에 대한 변명은 하고싶지 않다. 다만 내가 개인적인 시간 컨트롤을 못했고 이 부분을 잘 하지 못하면 쓰지 못한다는 것도 충분히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논문 실험과 아웃라인을 잡고 관련 연구에 대한 리서치를 수행하면서 논문 읽기에 대한 습관과 연구 영역을 좁힌건 올해 매우 큰 수확이었다.

10월 논문작업을 잠시중단하게 한 일은 KoNLP의 개선에 쓸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그 동안 3년 넘게 방치해둔 패키지 이슈들과 사용자들의 요청을 외면할 수 없었는데, 다행히 정보화진흥원 에서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줘 개인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의 패키지 성능 개선을 하게 되었다. KoNLP는 개인적으로 업무로서 거리가 생겨버린 텍스트 마이닝의 연결점이라는 의미가 있고, 사용자에게는 좋은 텍스트 기반 연구도구로서 잘 사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와 업데이트를 해갈 예정이다. 120만 형태소 사전을 활용해 분석을 수행하게 만들면서 기존의 메모리 낭비 이슈라든지 퍼포먼스 이슈를 함께 해결해야 했으며 문장 분리기 및 자동 띄어쓰기 등의 플러그인을 개발해야 했다. 약 3개월동안 주말 및 일과 이외 시간을 KoNLP에 썼으며 지금 생각해보면 2016년에 가장 의미있게 수행한 개인 업무였다 생각한다.

 

2017년

2017년은 좀더 다른 경험을 하는 한해가 되었으면 한다. 이미 작년 초중반부터 내가 가지고 있는 기술이 이미 과거 기술이 되고 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고, 2017년 초가 되면서 이 생각은 거의 확실화 되고 있다. 지금 가지고 있는 기술과 능력에 대해서 반복 사용하면서 지낼 것인가 아니면 지금의 경험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 것인가의 고민을 계속하고 있다. 다만 확실한 건 이미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사이에 세상은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도 보폭을 맞춰야 되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보폭을 맞출 수 있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한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CC BY-NC 4.0 2016년 결산 by from __future__ import dream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NonCommercial 4.0 International License.